사회경제

한우리/문해력/독서/아이독서/초등독서/문해력의 중요성

머니가 보이는 세상 2024. 1. 10.

 

 

독서 문해력 공부
독서 공부 문해력

 

 

 

문해력, 무엇을 독서로 볼 것인가?

최근 몇 년 사이 문해력의 중요성과 다양한 분야의 문해력에 대해 사회적으로 그리고 교육적으로 많은 관심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독서하면 책 읽기를 떠올리며 국민독서실태조사와 독서교육, 출판시장, 학교도서관, 가정 내 독서문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EBS <당신의 문해력>은 실제적인 실험과 관찰을 통해 문제점과 해법을 찾아주는 내용으로 아이들의 문해력에서 이제는 성인의 문해력까지 대한민국 문해력 열풍을 일으킨 좋은 방송 프로그램입니다.

 

문해력이란?

라틴어 'literatus'에서 파생되었는데, 문해력을 갖춘 사람을 고대에는 '문학에 조예가 깊은 사람', 중세에는 '라틴어를 읽고 쓸 수 있는사람.' 종교 개혁 이후에는 '자신의 모국어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이라고 연구자들은 정의합니다. 예를 들면 조선 시대 과거를 준비하던 선비의 책 읽기와 1960년대 이후 문맹퇴치의 목적으로 글을 배우던 학생들과 하이퍼텍스트의 사용이 일상화된 지금 학생들의 글 읽기 목적이 다른 것처럼 시대에 따라 문해력을 갖춘 사람의 개념도 다릅니다.

 

오늘날 <독서교육사전>에서 문해력은 "글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사회적 맥락에 요구되는 방식으로 읽고 쓸 수 있는 능력돠 의지를 말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현재 우리 아이들 입장에서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하는 방식'이란 무엇일까요? 현대적 개념의 문해력은 우리 아이들의 문자 해독능력과 기초적인 수준에서의 읽기 능력에 국한되지 않습니다.학생의 문해력은 개인적 흥미로 읽고 싶은 책도 읽고, 학생으로서 학습 관련 읽어야 하는 책도 읽을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고대붜 지금까지 책의 형태는 외형적으로 변해왔지만 그 외형에 담아내는 인류의 축적된 사고와 지식의 양은 증가했고 지금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모국어 뿐 아니라 다양한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literate people)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금은 문자 외에도 그림, 도표, 인포 그래픽 등 이미지와 동영상까지도 보는 것에서 읽는 것으로 의미를 확장하여 텍스트의 범위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전자책, 오디오북 등으로 확장되고있습니다. 

 

 

독서는

크게 흥미와 취미를 말하는 자유 독서와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학습 독서가 있습니다. 교과 독서는 학습 독서에 포함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무엇을 독서로 볼 것인가?' 하는 독서의 개념을 독서의 목적과 독서의 방법으로 나누어 본 분류입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교과독서(content area reading)를 강조하는 이유는 '독서=자유 독서'라는 인식을 재편하여 자유 독서와 학습 독서의 균형을 통해 우리 아이들의 학습 독서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사회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문해력을 향상하는 길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한우리가 매년 발간하는 <한우리가 선정하는 좋은 책>은 주제별, 학년별로 분류하여 자유독서와 학습 독서에 모두 도움이 될 ㅜㅅ 있는 도서를 선정하여 만들고 있습니다.

 

 

동화나 문학책 읽기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감성이 풍부하고 바른 인성으로 자라길 바라며, 정보책 읽기를 통해 새로운 지식 습득과 미래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과학 기술 등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면 합니다. 이 작은 책 한 권이 우리아이들의 문해력 향상에 작은 불씨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 추천 글